레비뉴 리포트(Revenue Report)는 매출에 관한 다양한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통계 리포트입니다. 에어브릿지 사용자는 이 리포트에서 설정한 기간에 앱을 설치하거나 딥링크로 앱에 유입된 유저가 발생시킨 매출 관련 성과를 일자별(Day N)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너 또는 사내 마케터 권한 에어브릿지 사용자만 레비뉴 리포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행사, 미디어 파트너 권한 에어브릿지 사용자에게는 추후 기능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리포트 설정 방법
기간
레비뉴 리포트(Revenue Report)에서는 설정한 기간에 특정 유저가 발생시킨 매출 관련 성과를 일자별(Day N)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건과 날짜를 선택해서 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리포트를 조회할 수 있는 최대 기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리포트를 조회하는 날을 포함해 총 175일 안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1번의 설정으로 31일치(Day 30)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설정할 수 있는 기간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간 조건 | 선택 날짜 | 조회 기간 |
---|---|---|
Between | 시작일, 종료일 | 시작일부터 종료일까지 |
Since | 시작일 | 시작일부터 오늘(분석일)까지 |
Last | 숫자(n) | n일 전부터 어제까지 |
3가지 조건 중에서 ‘Last’는 ‘오늘 포함’이나 ‘Offset’을 통해 조건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오늘을 포함하면 리포트 조회 기간은 n일 전부터 오늘까지로 변경됩니다. 'Offset'을 클릭하고 숫자를 입력하면 조회 기간이 입력한 숫자만큼 뒤에서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Last’를 선택하고 30을 입력하면 리포트 조회 기간은 30일 전부터 어제까지입니다. 같은 조건에서 ‘오늘 포함’을 체크하지 않고 ‘Offset’에 3을 입력하면 조회 기간은 33일 전부터 4일 전까지로 설정됩니다.
이벤트
레비뉴 리포트의 분석 대상은 특정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입니다. 레비뉴 리포트는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일부 또는 모두 실행한 유저를 대상으로 일자별 매출 관련 성과를 집계합니다. 아래 각 이벤트에 대한 설명을 참고해 주세요.
![]()
지원하는 이벤트 종류
레비뉴 리포트는 앱(App) 이벤트에 대해서만 성과 분석을 지원합니다. 웹(Web) 또는 iOS SKAdNetwork(SKAN) 이벤트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스타트 이벤트
스타트 이벤트는 설정한 기간에 유저가 유입되면서 발생한 이벤트입니다.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하지 않은 유저는 레비뉴 리포트의 분석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레비뉴 리포트에서 설정할 수 있는 스타트 이벤트는 Install (App)과 Deeplink Open (App)입니다. 두 이벤트 중 1개만 선택하거나 모두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이미지처럼 스타트 이벤트를 설정하면 레비뉴 리포트는 분석 기간에 앱 설치 이벤트를 발생시킨 유저를 대상으로 레비뉴 이벤트 실행 여부를 조회합니다.
레비뉴 이벤트
레비뉴 이벤트는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가 발생시킨 매출 관련 이벤트입니다. 운영하는 서비스에서 매출이 발생하는 형태에 따라 여러 개의 레비뉴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품 구매와 멤버십 구독으로 매출이 발생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구매 완료 (App)와 구독 (App)을 선택해서 레비뉴 리포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레비뉴 이벤트는 설정한 기간부터 최대 31일(Day 30) 동안 집계됩니다. 예를 들어 기간을 1월 1일로 설정하면 레비뉴 리포트는 레비뉴 이벤트를 1월 31일까지 집계합니다.
아래는 레비뉴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는 5개 이벤트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구매 완료 (App)
유저의 첫 구매 이벤트로 발생한 매출 관련 데이터를 측정합니다. 레비뉴 리포트는 에어브릿지 디바이스 ID(Airbridge Device ID)를 기준으로 최초 발생한 구매 이벤트를 첫 구매로 판단합니다.
![]()
에어브릿지 디바이스 ID
에어브릿지 디바이스 ID는 에어브릿지가 고유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범용 고유 식별자(Device UUID)입니다. 레비뉴 리포트에서는 기본적으로 OS별 식별자(안드로이드-GAID, iOS-IDFV)가 에어브릿지 디바이스 ID의 값으로 사용됩니다. 식별자를 수집하지 못 했거나 사용할 수 없다면 에어브릿지 SDK에서 임의로 생성한 ID(Random Generated UUID)가 사용됩니다.
구매 완료 (App)
유저의 구매 이벤트로 발생한 매출 관련 데이터를 측정합니다.
광고 노출 (App)
유저가 앱 안에 삽입된 광고를 보면서 발생한 매출 관련 데이터를 측정합니다.
광고 클릭 (App)
유저가 앱 안에 삽입된 광고를 클릭해서 발생한 매출 관련 데이터를 측정합니다.
구독 (App)
유저의 구독 이벤트로 발생한 매출 관련 데이터를 측정합니다.
![]()
성과 처리 방식
레비뉴 이벤트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발생한 스타트 이벤트의 성과로 처리됩니다. 새로운 스타트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존의 스타트 이벤트는 더이상 성과를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마지막에 발생한 스타트 이벤트는 남은 기간에 발생한 모든 레비뉴 이벤트를 성과로 인정받습니다.
이러한 레비뉴 리포트의 성과 처리 방식은 필터를 설정하거나 액츄얼스 리포트(Actuals Report)와 수치를 비교할 때 수치 차이를 발생시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자주 묻는 질문을 참고해 주세요.
메트릭
에어브릿지 사용자는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를 대상으로 아래 6가지의 메트릭을 일자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매출액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가 발생시킨 매출액을 계산합니다.
유저수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 수를 계산합니다.
이벤트수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가 발생시킨 레비뉴 이벤트의 수를 계산합니다.
ROAS(Return on Ad Spend)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에 대한 광고 비용 대비 매출액 비율을 뜻합니다. 광고 비용으로 분석 기간에 누적된 매출액을 나눈 수치를 백분율로 환산합니다. 아래 예시를 참고해 주세요.
예시) Day 0, 1의 ROAS
- Day 0 ROAS: Day 0 누적 매출액 ÷ 100,000(총 광고 비용) × 100(백분율) = 100%
- Day 1 ROAS: Day 1 누적 매출액 ÷ 100,000(총 광고 비용) × 100(백분율) = 200%
각 일자의 누적된 매출액은 아래 이미지처럼 메트릭을 매출액으로 변경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기간, 이벤트, 그룹바이, 필터 설정은 동일해야 합니다.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앱에 유입된 유저당 평균 매출액을 뜻합니다. 분석 기간에 누적된 매출액을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 수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 수는 서브 메트릭의 Users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메트릭을 선택하면 채널 값이 페이스북에 해당하는 일부 수치가 마스킹(masking)되어 보이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페이스북 개인정보보호정책에 대한 유의 사항을 확인 바랍니다.
예시) Day 0, 1의 ARPU
- Day 0 ARPU: Day 0 누적 매출액 ÷ 100(스타트 이벤트 실행 유저 수) = 1000(원)
- Day 1 ARPU: Day 1 누적 매출액 ÷ 100(스타트 이벤트 실행 유저 수) = 2000(원)
각 일자의 누적된 매출액은 아래 이미지처럼 메트릭을 매출액으로 변경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기간, 이벤트, 그룹바이, 필터 설정은 동일해야 합니다.
ARPPU(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결제 유저당 평균 매출액을 뜻합니다. 분석 기간에 누적된 매출액을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 수로 나눠서 계산합니다.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 수는 서브 메트릭의 Paying Users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Day 0, 1 ARPPU
- Day 0 ARPPU: Day 0 누적 매출액 ÷ 10(레비뉴 이벤트 실행 유저 수) = 10000(원)
- Day 1 ARPPU: Day 1 누적 매출액 ÷ 10(레비뉴 이벤트 실행 유저 수) = 20000(원)
각 일자의 누적된 매출액은 아래 이미지처럼 메트릭을 매출액으로 변경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기간, 이벤트, 그룹바이, 필터 설정은 동일해야 합니다.
메트릭 표시 방식
레비뉴 리포트는 계산된 메트릭을 아래 2가지 방식으로 보여줍니다.
Cumulative
분석 기간의 첫 날(Day 0)부터 마지막 날(Day N)까지의 수치를 누적합니다. 만약 매출액 데이터를 Cumulative 방식으로 보면 분석 기간 마지막 날 매출액과 Total Revenue의 수치가 동일하게 표시됩니다.
On Day
수치를 누적하지 않고 날짜 단위로 분절합니다. 만약 매출액 데이터를 On Day 방식으로 보면 Cumulative 방식과 다르게 분석 기간 마지막 날 매출액과 Total Revenue의 수치가 동일하게 표시되지 않습니다. 일자별 매출액을 모두 더해야 Total Revenue와 같은 수치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메트릭 표시 방식은 메트릭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메트릭 | Cumulative | On Day |
---|---|---|
매출액 | ✅ | ✅ |
유저수 | ✅ | |
이벤트수 | ✅ | ✅ |
ROAS | ✅ | |
ARPU | ✅ | |
ARPPU | ✅ |
서브 메트릭
서브 메트릭은 에어브릿지 사용자가 선택한 메트릭에 대한 수치를 확인할 때 참고하면 좋을 비교 지표입니다. 메트릭을 선택하면 3~4개의 서브 메트릭이 자동으로 선택되고, 표에 고정 열로 추가됩니다. 나열되어 있는 서브 메트릭 오른쪽의 ‘추가'를 누르면 5개의 서브 메트릭을 더하거나 뺄 수 있습니다.
Users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 수를 뜻합니다. 이 서브 메트릭을 선택하면 채널이 페이스북에 해당하는 일부 수치가 마스킹(masking)되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Paying Users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 수를 뜻합니다.
Total Revenue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가 발생시킨 총매출액을 뜻합니다.
Total Cost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의 앱 유입에 쓰인 총 광고 비용을 뜻합니다. 이 서브 메트릭은 ROAS를 메트릭으로 선택했을 때만 자동 선택됩니다.
Total Event Count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가 발생시킨 레비뉴 이벤트의 수를 뜻합니다. 이 서브 메트릭은 이벤트수를 메트릭으로 선택했을 때만 자동 선택됩니다.
그룹바이와 필터
그룹바이는 레비뉴 리포트로 조회할 메트릭의 수치를 나누는 기준입니다. 최대 4개의 그룹바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한 그룹바이는 테이블 왼쪽부터 설정한 순서대로 표시됩니다.
필터는 레비뉴 리포트로 특정 메트릭의 수치를 조회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설정한 필터는 차트와 테이블에 표시되는 수치에 적용됩니다.
자세한 필터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필터 조건 | 의미 |
---|---|
is | 설정한 밸류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표시 |
is not | 설정한 밸류에 해당하지 않는 데이터만 표시 |
exists | 설정한 밸류가 존재하는 데이터만 표시 |
does not exist | 설정한 밸류가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만 표시 |
![]()
주의하세요
그룹바이와 필터 설정은 설정한 기간에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를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리포트 조회
리포트 설정 방법에 따라 레비뉴 리포트(Revenue Report)를 설정하면 조회 기간 동안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가 발생시킨 매출 관련 성과를 일자별(Day N)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레비뉴 리포트는 차트와 테이블로 동일한 일자별 수치를 표시합니다.
차트
레비뉴 리포트의 차트는 설정한 메트릭에 따라 일자별 수치를 선(line) 형태로 표시합니다. 최초로 설정했을 때는 그룹바이와 필터 설정에 따라 수치가 가장 높은 8개의 항목이 서로 다른 색깔로 나타납니다. 차트의 빈 공간에 마우스 커서를 대면 해당 일자의 수치를 표시된 항목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정 항목을 나타내는 선에 마우스 커서를 대면 아래 이미지처럼 해당 항목의 일자별 수치만 집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트 아래에 있는 항목을 클릭하면 일부 항목만 표시하거나 제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축 활용
특정 항목을 나타내는 선을 클릭하면 축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특정 항목의 일자별 수치가 다른 항목보다 훨씬 높거나 낮아서 차트를 원활하게 확인할 수 없을 때 활용됩니다.
’오른쪽 축’을 클릭하면 선택한 항목에 맞게 새로운 축이 오른쪽에 생깁니다. 오른쪽에 생긴 축의 단위는 선택한 항목의 일자별 수치에 따라 형성됩니다. 오른쪽으로 축을 변경한 항목의 선은 점선으로 바뀝니다.
예를 들어 아래 이미지처럼 미기여(unattributed)의 축을 오른쪽으로 변경하면 크게 차이 나는 미기여와 다른 채널의 일자별 수치를 하나의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
테이블에서 차트에 표시할 항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리포트를 설정한 최초에는 8개의 주요 항목이 선택됩니다. 항목을 변경하고 싶다면 항목별 체크 박스를 체크하고 해제합니다. 맨 위에 있는 체크 박스를 클릭하면 주요 항목 8개의 체크 박스가 한번에 체크되거나 해제됩니다.
차트에 표시되는 항목뿐만 아니라 모든 항목에 걸쳐 일자별 매출 관련 성과를 테이블에서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 내용과 이미지를 참고 바랍니다.
예시) 구매 완료 (App)로 발생한 누적 매출액 조회 시나리오
- Users: 2023년 1월 1일에 스타트 이벤트로 설정한 Installs (App)을 실행한 미기여(unattributed) 유저 수는 20명입니다.
- Paying Users : 1월 1일에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유저 중 레비뉴 이벤트로 설정한 구매 완료 (App)을 실행한 유저 수는 10명입니다. 레비뉴 리포트는 최대 31일치 데이터를 조회하기 때문에 Paying Users를 집계한 기간은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입니다.
- Total Revenue: 1월 1일부터 1월 31일 사이에 레비뉴 이벤트를 실행한 결제 유저(Paying Users)가 발생시킨 총매출액은 100000원입니다.
- 1월 1일의 Day 0: 1월 1일에 발생한 매출액은 10000원입니다.
- 1월 1일의 Day 1: 1월 2일까지 누적된 매출액은 30000원입니다. 이 수치는 1월 1일과 1월 2일에 발생한 매출액을 합친 수치입니다.
테이블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을 클릭하면 날짜 단위로 매출 관련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릭된 버튼의 모양은 ‘∧’로 바뀝니다.
날짜 단위로 표시되는 하위 행은 같은 열 안에서도 서로 다른 날짜의 매출 관련 성과를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기간을 1월 1일과 1월 2일의 일자별 수치는 아래 이미지처럼 각각 서로 다른 날짜의 수치를 의미합니다.
리포트 복사 및 다운로드
설정값 복사
‘설정값 복사’를 클릭하면 기간부터 서브 메트릭까지 현재 조회하고 있는 레비뉴 리포트(Revenue Report)의 설정이 복사됩니다. ‘설정값 수정하고 붙여넣기’나 ‘설정값 바로 붙여넣기’를 클릭하면 복사한 설정값을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서로 다른 에어브릿지 사용자가 동일한 상태의 레비뉴 리포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설정값 수정하고 붙여넣기’를 클릭했을 때는 설정값 에디터가 나타납니다. 설정값을 붙여넣고 ‘설정 완료’를 클릭하면 레비뉴 리포트를 복사한 설정 상태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차트, 테이블 다운로드
‘전체 차트 (PNG)’와 ‘CSV’를 클릭하면 현재 레비뉴 리포트의 차트와 테이블을 각각 PNG, CSV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클릭하면 테이블의 일자별 수치를 선택한 구글 계정에 에어브릿지와 같은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차트, 테이블 복사
레비뉴 리포트의 일자별 수치를 표시하는 차트와 테이블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차트 복사’와 ‘테이블 복사’를 클릭하면 레비뉴 리포트의 차트와 테이블이 현재 상태 그대로 복사됩니다.
PNG 파일로 복사된 차트 이미지는 문서, 시트, PPT 등 다양한 도구에 자유롭게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복사된 테이블은 구글 스프레드시트, 엑셀에 붙여넣어서 에어브릿지와 같은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Users와 Paying Users의 Total 수치와 일자별 수치의 합계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Users의 Total 수치는 Users의 날짜별 수치를 모두 더한 수치보다 항상 작거나 같습니다.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한 고유한 유저 수를 계산하는 기간 단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Total 수치는 분석 기간 전체에 걸쳐 유저 수를 집계합니다. 날짜별 수치는 날짜 단위로 유저 수를 집계합니다. Paying Users 또한 같은 방식으로 스타트 이벤트와 레비뉴 이벤트를 모두 실행한 고유한 유저 수를 계산합니다.
예시) Users, Paying Users의 Total 수치-일자별 수치 불일치 시나리오
분석 기간
2022년 10월 1일 ~ 2022년 10월 2일
유저 행동
1. 10월 1일 광고 통해 앱 설치, 구매 후 앱 삭제
2. 10월 2일 광고 통해 다시 앱 설치, 구매
분석 결과
1. Users, Paying Users Total 수치: 총 1명
2. Users, Paying Users 일자별 수치: 1명(10월 1일), 1명(10월 2일), 총 2명
Q. 레비뉴 리포트와 액츄얼스 리포트의 채널별 총매출액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아래 3가지 이유로 레비뉴 리포트(Revenue Report)의 Total Revenue 수치와 액츄얼스 리포트(Actuals Report)에서 매출 관련 메트릭으로 조회할 수 있는 매출액 수치는 다를 수 있습니다. 두 리포트의 수치는 아래와 같은 이벤트와 메트릭을 선택해서 비교할 수 있습니다.
레비뉴 이벤트 | 액츄얼스 리포트 메트릭 |
---|---|
첫 구매 완료 (App) | 첫 구매액 (App) |
구매 완료 (App) | 구매액 (App) |
광고 노출 (App) | 광고 노출 매출액 (App) |
광고 클릭 (App) | 광고 클릭 매출액 (App) |
구독 (App) | 구독 매출액 (App) |
음수 계산
레비뉴 리포트는 음수를 0으로 치환해 계산하지만, 액츄얼스 리포트는 0 미만의 음수 계산을 지원합니다.
성과 처리
액츄얼스 리포트와 레비뉴 리포트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성과를 처리합니다.
- 액츄얼스 리포트: 어트리뷰션 윈도우 안에 발생한 매출 관련 이벤트를 성과로 처리합니다. 어트리뷰션 윈도우를 벗어난 이벤트는 메트릭 수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레비뉴 리포트: 레비뉴 이벤트를 가장 최근에 발생한 스타트 이벤트의 성과로 처리합니다. [Attribution Rule]에서 설정할 수 있는 어트리뷰션 윈도우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레비뉴 리포트로 어트리뷰션 윈도우를 벗어난 레비뉴 이벤트로 발생한 매출 관련 성과까지 조회할 수 있습니다. 두 리포트의 수치 차이는 어트리뷰션 윈도우가 짧을수록 더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복 집계
유저가 같은 날 여러 건의 스타트 이벤트를 실행하면 레비뉴 이벤트는 레비뉴 리포트에서 중복으로 집계될 수 있습니다.
예시) 레비뉴 이벤트 중복 집계 시나리오
분석 기간
1월 1일 ~ 1월 2일
유저 행동
1. 1월 1일 오후 2시 A 광고로 앱 설치
2. 1월 1일 오후 7시 B 광고로해당 앱의 딥링크 오픈
3. 1월 2일 오전 11시 해당 앱으로 상품 구매
분석 결과
1. A 광고로 유저가 발생시킨 1월 2일 레비뉴 이벤트-1건
2. B 광고로 유저가 발생시킨 1월 2일 레비뉴 이벤트-1건
Q. 같은 프로퍼티를 그룹바이에 설정했을 때와 필터에 설정했을 때의 수치가 다릅니다.
레비뉴 이벤트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발생한 스타트 이벤트의 성과로 처리됩니다. 따라서 그룹바이와 필터 중 무엇을 설정하느냐에 따라 레비뉴 리포트로 조회되는 수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이미지처럼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그룹바이를 Channel로 설정하면 첫 번째, 두 번째 레비뉴 이벤트는 A 채널에서 발생한 스타트 이벤트의 성과로 처리됩니다. 세 번째, 네 번째 레비뉴 이벤트는 B 채널의 성과로 처리됩니다.
같은 시나리오에서 아래 이미지처럼 필터를 Channel is A로 설정하면 모든 레비뉴 이벤트가 A 채널에서 발생한 스타트 이벤트의 성과로 처리됩니다.